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표적 치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표적 치료는 암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분자를 억제하거나, 자가면역질환 및 장기이식 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치료법이다. 1980년대 단클론항체 개발을 시작으로, 저분자 화합물과 다양한 형태의 표적 치료제가 개발되었다. 표적 치료제는 저분자 의약품, 항체 의약품, 핵산 의약, 기타 고분자 의약품 등으로 나뉘며, 이마티닙, 리툭시맙, 펨브롤리주맙, 에타너셉트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암제 - 아자티오프린
    아자티오프린은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예방 및 자가면역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억제제이며,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지만 부작용과 유전자형에 따른 차이가 보고되었고, 사이클로스포린 등의 도입으로 사용이 일부 대체되었다.
  • 항암제 - 알킬화제
    알킬화제는 DNA의 구아닌 염기를 손상시켜 세포 분열을 억제하는 물질로, 항암 화학 요법과 자가면역 질환 치료에 사용되지만, DNA 복구 효소 MGMT에 의해 효능이 제한될 수 있다.
  • 의약품 - 생리식염수
    생리식염수는 0.9% 농도의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일반생리식염수와 멸균생리식염수로 구분되며 상처 세척, 비강 세척, 수액 보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의약품 - 진통제
    진통제는 통증을 완화하는 약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오피오이드, COX-2 억제제 등 종류가 다양하며, 통증 종류와 강도에 따라 적절한 선택과 전문가의 처방이 중요하고, 알코올, 의료용 대마, 침술 등의 사용은 신중해야 한다.
표적 치료

2. 역사

1980년대 초, 단클론항체 개발이 시작되면서 '분자표적치료'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29] 초기에는 CEA 등의 종양 관련 항원에 대한 항체 요법이 마우스 단클론항체를 이용해 시도되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9] 1997년, 최초의 항체 의약품인 리툭시맙이 승인되었다.[29] 그러나 인간-키메라 항체 개발 과정에서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보고되면서 인간화 항체 개발이 촉진되었다.[29]

1990년대 후반, 이마티닙 메실산염이나 게피티닙 등의 저분자 화합물이 임상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분자표적치료'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9] 특히 2001년 승인된 이마티닙은 만성골수성백혈병(CML)에 대해 큰 효과를 발휘하여 분자표적치료제의 평가를 크게 향상시켰다.[29]

최근 컴퓨터와 게놈 의학의 발달로 표적 분자 발견부터 신약 개발까지의 기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인다.[29] BRAF 억제제의 경우 표적 분자 발견 후 약 10년 만에 승인되었고, 크리조티닙의 경우 승인까지 걸린 시간이 4년에 불과했다.[29] 또한, 융합 항체 등 새로운 형태의 분자표적치료제도 등장하고 있다.[29]

3. 특징

기존의 항암제(세포독성 항암제)가 세포 손상을 목표로 하는 것과 달리, 분자표적치료제는 대부분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분자를 억제한다. 따라서 분자표적치료는 종양을 축소시키지 않고 증식만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암세포 특이적으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므로 최적 투여량은 최대 내약량이 아니라 최소 유효량이며, 최대 내약량과 최소 유효량의 차이가 클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독성 프로파일이 다를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실제로 분자표적치료가 널리 시행되면서 분자표적치료제는 종양 축소 효과를 나타내고, 게피티닙의 표적 분자인 변이 EGFR처럼 처음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알려지지 않은 분자가 표적으로 되어 임상적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이 생겨났다. 독성과 관련해서도 간질성 폐렴처럼 예상하지 못했던 치명적인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며, 무조건 독성이 적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자가면역질환, 장기이식의 경우, 세포 간 신호 전달이나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신호 전달을 차단하고 면역 반응 및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세포 간 신호로는 TNF-α나 인터루킨-6, 세포 내 신호로는 자누스 키나제나 mTOR 등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이 실용화되고 있다.

4. 종류

분자표적치료제는 크게 저분자 의약품과 항체 의약품으로 나뉜다.[45]

저분자 의약품은 분자량이 작아 혈액-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으며, 세포막 안이나 핵까지 침투할 수 있다. 표적이 되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약효를 나타낸다.


  • 이마티닙(글리벡)은 만성 골수성 백혈병, 위장관 기질 종양 및 기타 일부 암의 치료에 승인되었다. 초기 임상 시험 결과에 따르면 이마티닙은 피부섬유육종 치료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 게피티닙(이레사)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티로신 키나제를 표적으로 하며, 미국에서는 비소세포 폐암 치료에 승인되었다.
  • 에를로티닙(타세바로 판매)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를 억제하며,[11] 게피티닙과 유사한 기전으로 작용한다. 에를로티닙은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에서 2차 치료제로 사용될 때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라페닙(넥사바)[12]
  • 수니티닙(수텐트)
  • 다사티닙(스프라이셀)
  • 라파티닙(타이커브)
  • 닐로티닙(타시그나)
  • 보수티닙(보술리프)
  • 포나티닙(아이클루시그)
  • 아시미닙(스캠블릭스)
  • 보르테조밉(벨케이드)는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프로테아좀 억제제 약물로, 단백질에 간섭하여 암세포를 사멸시킨다. 미국에서는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다발성 골수종 치료에 승인되었다.
  •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타목시펜은 표적 치료의 기초로 설명되어 왔다.[13]
  • JAK 억제제, 예: FDA 승인 토파시티닙
  • ALK 억제제, 예: 크리조티닙
  • Bcl-2 억제제 (예: FDA 승인 베네토클락스, 임상 시험 중인 오바토클락스, 나비토클락스, 그리고 고시폴).[14]
  • PARP 억제제 (예: FDA 승인 올라파립, 루카파립, 니라파립 및 탈라조파립)
  • PI3K 억제제 (예: 3상 시험 중인 페리포신)
  • 아파티닙은 다양한 악성 종양에서 임상 시험에서 고무적인 항종양 활성을 보인 선택적 VEGF 수용체 2 억제제이다.[15] 아파티닙은 현재 전이성 위암, 전이성 유방암 및 진행성 간세포암에 대한 임상 개발 중이다.[16]
  • 조프타렐린 독소루비신 (AN-152), [D-Lys(6)]- 황체형성호르몬 방출 호르몬에 결합된 독소루비신, 난소암에 대한 2상 결과.[17]
  • BRAF V600E 돌연변이를 가진 전이성 흑색종 치료에 사용되는 BRAF 억제제(베무라페닙, 다브라페닙, LGX818)
  • MEK 억제제(트라메티닙, MEK162)는 실험에서 종종 BRAF 억제제와 함께 사용되어 흑색종을 치료한다.
  • CDK 억제제, 예: 임상 시험 중인 PD-0332991, LEE011
  • 임상 시험 중인 일부 Hsp90 억제제
  • 헤지호그 경로 억제제 (예: FDA 승인 비스모데기브 및 소니데기브)
  • 살리노마이신은 실험실에서 생성된 쥐의 유방 종양과 자연 발생 유방 종양 모두에서 암 줄기 세포를 사멸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 독특한 이중 기능 DNA 가교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최초의” DNA 표적 작용제인 VAL-083(디안하이드로갈락티톨).[18][19] NCI가 후원하는 임상 시험에서 교모세포종, 난소암 및 폐암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암에 대한 임상적 활성이 입증되었다.
  • 이브루티닙은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를 차단하며 망토세포 림프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치료에 사용된다.
  • 빈타폴리드(Vintafolide)는 엽산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저분자 약물 접합체이다.


이매티닙의 기작작용


많은 종류의 표적치료제가 티로신 인산화효소와 관련된 것이다.

  • 이마티닙(Imatinib, 글리벡):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및 KIT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며, 만성 골수성 백혈병,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Ph+ALL), 위장관 기질 종양(GIST) 치료에 사용된다.[45]
  • 게피티닙(Gefitinib, 이레사):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EGFR-TKI)이며,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사용된다.
  • 엘로티닙(Erlotinib, 탈세바): 게피티닙과 마찬가지로 EGFR-TKI이며,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사용된다.
  • 오시머티닙(Osimertinib, 타그리소): EGFR ''T790M'' 변이 양성(EGFR-TKI 내성) 비소세포폐암에 효과적인 EGFR-TKI이다.
  • 아파티닙(Afatinib, 지오트리프): EGFR의 티로신키나아제 도메인의 ATP 결합 부위에 공유결합하여 비가역적으로 억제한다.
  • 다코미티닙(Vizimpro, 비짐프로): ErbB 수용체 패밀리(EGFR, HER 2, HER 3 및 HER 4)가 형성하는 호모 및 헤테로다이머에 의한 신호 전달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한다.
  • 다사티닙(Dasatinib, 스프리셀):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며 이마티닙 내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 재발 또는 불응성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Ph+ALL) 치료에 사용된다.
  • 포나티닙(Ponatinib, 아이클루시그):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지만, t315i 변이에 의한 약제 내성이 있어도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 보수티닙(Bosutinib, 보슈리프):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지만, 이마티닙, 다사티닙, 닐로티닙과는 다른 구조 상태의 티로신키나아제를 억제하기 때문에, 다른 약제 내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 반데타닙(Vandetanib, ZD6474, 카프렐사):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VEGFR),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RET 티로신키나아제를 억제한다.
  • 수니티닙(Sunitinib, SU11248, 수텐트): 혈소판유래성장인자수용체(PDGFR) 키나아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VEGFR) 키나아제, KIT 키나아제를 억제한다. GIST, 신세포암,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치료에 사용된다.
  • 악시티닙(Axitinib, 인라이타): VEGFR1, 2, 3, PDGFR, c-KIT를 억제한다. 신세포암 치료에 사용된다.
  • 파조파닙(Pazopanib, 보트리엔트): VEGFR1, 2, 3, PDGFR-α, β, c-Kit에 대한 억제 작용을 보이는 경구용 멀티키나아제 억제제이다. 신세포암과 악성 연부종양(연부육종)에 사용된다.
  • 렌바티닙(Lenvatinib, E7080, 렌비마): VEGFR, FGFR, PDGFRα, KIT, RET 등의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다.
  • 라파티닙(Lapatinib, GW572016, 타이켈브):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와 Her2/neu 모두를 억제하는 이중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며, HER2 과발현 유방암에 사용된다.
  • 닌테다닙(Nintedanib, 오페브): VEGFR, FGFR, PDGFR에 작용한다.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에 사용된다.
  • 닐로티닙(Nilotinib, 타시그나):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며 이마티닙 내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치료에 사용된다.
  • 이브루티닙(Ibrutinib): 브루톤 티로신키나아제(BTK) 억제제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소림프구성 림프종에 사용된다.


이 외에도 티로신 인산화 효소를 이용한 표적치료제의 종류는 다양하다.

4. 1. 저분자 의약품



저분자 의약품은 분자량이 300~500으로 작아 혈액-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으며, 세포막 안이나 핵까지 침투할 수 있다. 표적이 되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약효를 나타낸다.

많은 약물들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이다.

  • 이마티닙(글리벡, STI–571로도 알려짐)은 만성 골수성 백혈병, 위장관 기질 종양 및 기타 일부 암의 치료에 승인되었다. 초기 임상 시험 결과에 따르면 이마티닙은 피부섬유육종 치료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 게피티닙(이레사, ZD1839로도 알려짐)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티로신 키나제를 표적으로 하며, 미국에서는 비소세포 폐암 치료에 승인되었다.
  • 에를로티닙(타세바로 판매) 에를로티닙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를 억제하며,[11] 게피티닙과 유사한 기전으로 작용한다. 에를로티닙은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에서 2차 치료제로 사용될 때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때문에 에를로티닙이 이 경우 게피티닙을 대체하게 되었다.
  • 소라페닙(넥사바)[12]
  • 수니티닙(수텐트)
  • 다사티닙(스프라이셀)
  • 라파티닙(타이커브)
  • 닐로티닙(타시그나)
  • 보수티닙(보술리프)
  • 포나티닙(아이클루시그)
  • 아시미닙(스캠블릭스)
  • 보르테조밉(벨케이드)는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프로테아좀 억제제 약물로, 단백질에 간섭하여 암세포를 사멸시킨다. 미국에서는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다발성 골수종 치료에 승인되었다.
  •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타목시펜은 표적 치료의 기초로 설명되어 왔다.[13]
  • JAK 억제제, 예: FDA 승인 토파시티닙
  • ALK 억제제, 예: 크리조티닙
  • Bcl-2 억제제 (예: FDA 승인 베네토클락스, 임상 시험 중인 오바토클락스, 나비토클락스, 그리고 고시폴).[14]
  • PARP 억제제 (예: FDA 승인 올라파립, 루카파립, 니라파립 및 탈라조파립)
  • PI3K 억제제 (예: 3상 시험 중인 페리포신)
  • 아파티닙은 다양한 악성 종양에서 임상 시험에서 고무적인 항종양 활성을 보인 선택적 VEGF 수용체 2 억제제이다.[15] 아파티닙은 현재 전이성 위암, 전이성 유방암 및 진행성 간세포암에 대한 임상 개발 중이다.[16]
  • 조프타렐린 독소루비신 (AN-152), [D-Lys(6)]- 황체형성호르몬 방출 호르몬에 결합된 독소루비신, 난소암에 대한 2상 결과.[17]
  • BRAF V600E 돌연변이를 가진 전이성 흑색종 치료에 사용되는 BRAF 억제제(베무라페닙, 다브라페닙, LGX818)
  • MEK 억제제(트라메티닙, MEK162)는 실험에서 종종 BRAF 억제제와 함께 사용되어 흑색종을 치료한다.
  • CDK 억제제, 예: 임상 시험 중인 PD-0332991, LEE011
  • 임상 시험 중인 일부 Hsp90 억제제
  • 헤지호그 경로 억제제 (예: FDA 승인 비스모데기브 및 소니데기브)
  • 살리노마이신은 실험실에서 생성된 쥐의 유방 종양과 자연 발생 유방 종양 모두에서 암 줄기 세포를 사멸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 독특한 이중 기능 DNA 가교 결합 메커니즘을 가진 “최초의” DNA 표적 작용제인 VAL-083(디안하이드로갈락티톨).[18][19] NCI가 후원하는 임상 시험에서 교모세포종, 난소암 및 폐암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암에 대한 임상적 활성이 입증되었다. VAL-083은 현재 교모세포종(GBM)과 난소암의 잠재적 치료제로 2상 및 3상 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2017년 7월 현재, VAL-083의 4가지 임상 시험이 등록되어 있다.[20]
  • 이브루티닙은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를 차단하며 망토세포 림프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치료에 사용된다.
  • 빈타폴리드(Vintafolide)는 엽산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저분자 약물 접합체로, 백금 내성 난소암(PROCEED 시험)에 대한 임상 시험과 비소세포폐암(NSCLC)에 대한 2b상 시험(TARGET 시험)이 진행 중이다.[21]

  • 템시롤리무스 (토리셀)
  • 에베롤리무스 (아피니토르)
  • 베무라페닙 (젤보라프)
  • 트라메티닙 (메키니스트)
  • 다브라페닙 (타핀라르)

4. 1. 1.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많은 종류의 표적치료제가 티로신 인산화효소와 관련된 것이다.

  • 이마티닙(Imatinib, 글리벡): Bcr-Abl티로신키나아제 및 KIT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며, 만성 골수성 백혈병,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Ph+ALL), 위장관 기질 종양(GIST) 치료에 사용된다.[45] 초기 실험들은 imatinib이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게피티닙(Gefitinib, 이레사):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EGFR-TKI)이며,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사용된다.
  • 엘로티닙(Erlotinib, 탈세바): 게피티닙과 마찬가지로 EGFR-TKI이며,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사용된다. Erlotinib은 폐암의 전이가 이루어질 때 이차치료로 이용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보여지기 때문에 이러한 발견으로 인해 erlotinib은 특정 상황에서 gefitinib을 대체한다.
  • 오시머티닙(Osimertinib, 타그리소): EGFR ''T790M'' 변이 양성(EGFR-TKI 내성) 비소세포폐암에 효과적인 EGFR-TKI이다.
  • 아파티닙(Afatinib, 지오트리프): 상기 EGFR-TKI와 유사한 작용 기전이지만, EGFR의 티로신키나아제 도메인의 ATP 결합 부위에 공유결합하여 비가역적으로 억제한다.
  • 다코미티닙(Vizimpro, 비짐프로): 다코미티닙은 상피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EGFR, HER 1, ErbB 1), 인간 상피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HER 2(ErbB 2) 및 HER 4(ErbB 4)의 티로신키나아제 활성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다. ErbB 수용체 패밀리(EGFR, HER 2, HER 3 및 HER 4)가 형성하는 호모 및 헤테로다이머에 의한 신호 전달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한다. HER 패밀리의 ATP 결합 부위에서 ATP 결합 포켓의 시스테인 잔기와 공유 결합한다. HER 3은 키나아제 활성을 갖지 않아 다코미티닙은 결합하지 않지만, 다른 패밀리와 형성한 헤테로다이머에 작용한다.
  • 다사티닙(Dasatinib, 스프리셀):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며 이마티닙 내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 재발 또는 불응성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Ph+ALL) 치료에 사용된다.
  • 포나티닙(Ponatinib, 아이클루시그):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지만, t315i 변이에 의한 약제 내성이 있어도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 보수티닙(Bosutinib, 보슈리프):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지만, 이마티닙, 다사티닙, 닐로티닙과는 다른 구조 상태의 티로신키나아제를 억제하기 때문에, 다른 약제 내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전 치료 약물에 내성 또는 불내성인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에 사용된다.
  • 반데타닙(Vandetanib, ZD6474, 카프렐사):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VEGFR),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RET 티로신키나아제를 억제한다.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 수니티닙(Sunitinib, SU11248, 수텐트): 혈소판유래성장인자수용체(PDGFR) 키나아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VEGFR) 키나아제, KIT 키나아제를 억제한다. GIST, 신세포암,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치료에 사용된다.
  • 악시티닙(Axitinib, 인라이타): VEGFR1, 2, 3, PDGFR, c-KIT를 억제한다. 신세포암 치료에 사용된다.
  • 파조파닙(Pazopanib, 보트리엔트): VEGFR1, 2, 3, PDGFR-α, β, c-Kit에 대한 억제 작용을 보이는 경구용 멀티키나아제 억제제이다. 신세포암과 악성 연부종양(연부육종)에 사용된다.
  • 렌바티닙(Lenvatinib, E7080, 렌비마): VEGFR, FGFR, PDGFRα, KIT, RET 등의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로, 갑상선암에 대해 승인되었으며, 간세포암에 대해 3상 임상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악성 흑색종에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라파티닙(Lapatinib, GW572016, 타이켈브):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와 Her2/neu 모두를 억제하는 이중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며, HER2 과발현 유방암에 사용된다.
  • 닌테다닙(Nintedanib, 오페브): VEGFR, FGFR, PDGFR에 작용한다.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에 사용된다.
  • 닐로티닙(Nilotinib, 타시그나): Bcr-Abl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이며 이마티닙 내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치료에 사용된다.
  • 이브루티닙(Ibrutinib): 브루톤 티로신키나아제(BTK) 억제제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소림프구성 림프종에 사용된다.


이 외에도 티로신 인산화 효소를 이용한 표적치료제의 종류는 다양하다.

4. 2. 항체 의약품

면역글로불린 제제를 이용하며, 분자량이 50만에서 70만인 단백질이다. 세포막 표면 수용체의 세포 밖으로 나와 있는 돌기 등에 작용한다(세포 내부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특정 분자의 기능을 저해한다. 항체 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ADCC)이나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DC) 활성도 치료 효과에 관여한다. 대부분 생체 방어에 기여하는 단백질인 면역글로불린에 의한 ADCC 활성화[39]를 통해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몇몇 단클론 항체는 개발 중이며, 일부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승인된 단클론 항체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리툭시맙(MabThera 또는 Rituxan)은 B세포에서 발견되는 CD20을 표적으로 한다. 비호지킨 림프종에 사용된다.
  • 트라스투주맙(Herceptin)은 일부 유형의 유방암에서 발현되는 Her2/neu(ErbB2라고도 함) 수용체를 표적으로 한다. 암세포 표면에서 HER2 수용체와 결합하여 HER2 단백질이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촉진하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막아주어 암의 발생을 막아준다.
  • 알렘투주맙
  • 세툭시맙(Erbitux)과 파니투무맙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표적으로 한다. 세툭시맙은 전이성 대장암[24][25] 및 두경부 편평세포암종[26][27] 치료에 사용이 승인되었다. 파니투무맙 또한 EGFR을 표적으로 하며, 전이성 대장암 치료에 사용이 승인되었다.
  • 베바시주맙(Avastin)은 순환하는 VEGF 리간드를 표적으로 한다. 결장암,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사용이 승인되었으며, 뇌종양 치료에도 사용이 권장되었다.[48][28]
  • 이필리무맙(Yervoy)
  • 펨브롤리주맙(Keytruda)는 T세포에서 발견되는 PD-1 단백질에 결합한다. 펨브롤리주맙은 PD-1을 차단하여 면역 체계가 암세포를 죽이는 것을 돕는다.[22] 흑색종, 호지킨 림프종, 비소세포폐암 및 기타 여러 유형의 암 치료에 사용된다.[23]
  • 브렌툭시맙은 CD30을 표적으로 하며 일부 유형의 림프종에 유용하다.


많은 항체-약물 접합체(ADC)가 개발되고 있다. 항체와 약제의 장점을 부각해 특정 세포만 타켓팅하는 이 기술은 가치가 높으나, 항원-항체 복합에 의한 내제화 과정은 일반적으로 비효율적이고 그 수도 제한되어있어 강력한 약물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과 가격이 비싸다는 점을 해결해야 상용화가 가능하다.

4. 2. 1. 단클론 항체

면역글로불린 제제를 이용하며,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특정 분자의 기능을 저해한다. 항체 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ADCC)이나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DC)도 치료 효과에 관여한다.

몇몇 단클론 항체는 개발 중이며, 일부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승인된 단클론 항체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리툭시맙(MabThera 또는 Rituxan)은 B세포에서 발견되는 CD20을 표적으로 한다. 비호지킨 림프종에 사용된다.
  • 트라스투주맙(Herceptin)은 일부 유형의 유방암에서 발현되는 Her2/neu(ErbB2라고도 함) 수용체를 표적으로 한다. 암세포 표면에서 HER2 수용체와 결합하여 HER2 단백질이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촉진하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막아주어 암의 발생을 막아준다.
  • 알렘투주맙
  • 세툭시맙(Erbitux)과 파니투무맙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표적으로 한다. 세툭시맙은 전이성 대장암[24][25] 및 두경부 편평세포암종[26][27] 치료에 사용이 승인되었다. 파니투무맙 또한 EGFR을 표적으로 하며, 전이성 대장암 치료에 사용이 승인되었다.
  • 베바시주맙(Avastin)은 순환하는 VEGF 리간드를 표적으로 한다. 결장암,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사용이 승인되었으며, 뇌종양 치료에도 사용이 권장되었다.[48][28]
  • 이필리무맙(Yervoy)
  • 펨브롤리주맙(Keytruda)는 T세포에서 발견되는 PD-1 단백질에 결합한다. 펨브롤리주맙은 PD-1을 차단하여 면역 체계가 암세포를 죽이는 것을 돕는다.[22] 흑색종, 호지킨 림프종, 비소세포폐암 및 기타 여러 유형의 암 치료에 사용된다.[23]
  • 브렌툭시맙은 CD30을 표적으로 하며 일부 유형의 림프종에 유용하다.


많은 항체-약물 접합체(ADC)가 개발되고 있다. 항체와 약제의 장점을 부각해 특정 세포만 타켓팅하는 이 기술은 가치가 높으나, 항원-항체 복합에 의한 내제화 과정은 일반적으로 비효율적이고 그 수도 제한되어있어 강력한 약물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과 가격이 비싸다는 점을 해결해야 상용화가 가능하다.

4. 2. 2. 항체-약물 접합체 (ADC)

항체-약물 접합체(ADC)는 항체에 세포독성 약물이나 방사성 동위원소를 결합시켜 암세포에 대한 특이성과 살상 효과를 높인 치료제이다.

빈타폴리드(Vintafolide)는 엽산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저분자 약물 접합체로, 백금 내성 난소암(PROCEED 시험)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과 비소세포폐암(NSCLC)에 대한 2b상 시험(TARGET 시험)이 진행 중이다.[21][47]

4. 3. 핵산 의약

핵산 의약은 천연형 뉴클레오티드 또는 화학적 변형 뉴클레오티드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약물이며, 유전자 발현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생체에 작용하며, 화학 합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적인 핵산 의약으로는 앤티센스법, RNAi, 앱타머, 디코이 등이 있다. 핵산 의약은 화학 합성으로 제조된 핵산이 유전자 발현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생체에 작용하는 반면, 유전자 치료 약물은 특정 DNA 유전자에서 유전자 발현을 시켜 어떤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생성시키는 점이 다르다. 핵산 의약은 높은 특이성 외에도 mRNA나 non-coding RNA 등 기존 의약품으로는 노릴 수 없었던 세포 내 표적 분자를 신약 개발 표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일단 플랫폼이 완성되면 비교적 짧은 시간에 표준화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핵산 의약은 저분자 의약, 항체 의약에 이어 차세대 의약이며 암이나 유전 질환에 대한 혁신적인 의약품으로서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 포미비르센(포미비르센/Fomivirsen영어)은 1998년 FDA에서 승인된 핵산 의약이다. AIDS 환자의 CMV성 망막염에 대한 유리체 내 국소 주사용 앤티센스 핵산이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유전자의 IE2 mRNA를 표적으로 하고 있다.
  • 미포머센(미포머센/Mipomersen영어)은 2013년 FDA에서 승인된 핵산 의약이며, 전신 투여가 가능한 핵산 의약으로는 최초이다. 피하 주사로 투여한다. 호모접합형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이다. ApoB100 mRNA를 표적으로 하며 2'-MOE 변형이 되어 있다.
  • 누시넬센은 2016년 FDA에서 승인된 핵산 의약이며 척수액에 투여한다.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이다. 18염기의 앤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모든 핵산이 포스포티오에이트화되고, 2'-MOE 변형이 된 RNA 유도체이다. 따라서 RNase H 의존성 mRNA의 분해는 일어나지 않는다. 인트론에 결합함으로써 스플라이싱 기구를 저해하여 엑손 인클루전을 수행한다. 뇌척수액 내 농도가 4~5개월 유지되기 때문에 투여 개시 시에는 2개월 동안 4회 투여하지만, 그 후에는 4개월마다 투여한다.
  • 페가푸타닙(상품명: 마쿠젠)은 2004년 FDA에서 승인되었고, 2008년부터 일본에서도 승인된 핵산 의약이다. 노인성 황반 변성증에 대한 유리체 내 국소 주사용 앱타머이다. VEGF와 결합함으로써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핵산 의약이다. 퓨린 또는 피리미딘의 리보스의 2'위의 OH기가 각각 불소기 또는 O-Me기에 치환되고, 또한 PEG 사슬이 결합되어 있다.
  • 에테플리르센(에테플리르센/Eteplirsen영어) (상품명: Exondys 51)은 뒤시엔느형 근이영양증 치료제이며 2016년 FDA에 승인되었다. 모르폴리노 올리고를 사용한 디스트로핀 유전자의 엑손 51을 표적으로 하는 것이다. 엑손 스킵법이다.
  • 파치시란은 알나일람 사가 개발한 지질 나노 입자에 봉입된 RNAi의 정맥 주사제이며 2017년 FDA에 신청되었다. 트랜스티레틴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 신경병증 치료제이다.

4. 4. 기타 고분자 의약품

다른 고분자 의약품의 분자표적약으로는 사이토카인수용체 모방 약물 등이 있다.

에타너셉트(엔브렐)는 가용성 TNF-α 수용체이며,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약물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인플릭시맵과 달리 메토트렉세이트 복용을 필수로 하지 않는다.

아나킨라(키네렛)는 IL-1 수용체 억제제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사용된다. 감각 신경성 난청 개선에 기여한다는 연구가 있다.[41]

아바타셉트(Abatacept, 오렌시아)는 CTLA-4(세포독성 T림프구 관련 항원 4, CD152)의 세포외 영역과 IgG의 Fc 영역의 융합 단백질로, 항원제시세포 상의 공자극 분자(CD80/86)에 결합한다. T세포 상의 CD28과 CD80/86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억제함으로써 T세포 활성을 억제한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SLE의 치료에 사용된다.

4. 4. 1. TNF 억제제

에타너셉트(엔브렐)는 가용성 TNF-α 수용체이며,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약물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인플릭시맵과 달리 메토트렉세이트 복용을 필수로 하지 않는다.

4. 4. 2. 인터류킨(IL) 억제제

아나킨라(키네렛)는 IL-1 수용체 억제제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사용된다. 감각 신경성 난청 개선에 기여한다는 연구가 있다.[41]

4. 4. 3. T 세포 억제제

아바타셉트(Abatacept, 오렌시아)는 CTLA-4(세포독성 T림프구 관련 항원 4, CD152)의 세포외 영역과 IgG의 Fc 영역의 융합 단백질로, 항원제시세포 상의 공자극 분자(CD80/86)에 결합한다. T세포 상의 CD28과 CD80/86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억제함으로써 T세포 활성을 억제한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SLE의 치료에 사용된다.

5. 기타 분자표적치료제

넓은 의미로는 다음 약물들도 분자표적치료제에 포함된다.

; mTOR 억제제

: mTOR 억제제에는 에베로리무스, 시롤리무스, 템시롤리무스 등이 있다. 에베로리무스는 면역억제제인 서티칸, 유방암·신장암 치료제 아피니토르로 사용된다. 시롤리무스는 라파마이신으로도 불리며, 폐림프관근육종증 치료제로 쓰인다. 템시롤리무스는 토리셀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세포암 치료제로 사용된다.

; 칼시뉴린 억제제

: 칼시뉴린 억제제에는 타크로리무스와 시클로스포린이 있다. 타크로리무스는 면역억제제이며, 시클로스포린은 면역억제제이자 건선 치료제이다.

5. 1. mTOR 억제제

mTOR 억제제에는 에베로리무스, 시롤리무스, 템시롤리무스 등이 있다. 에베로리무스는 면역억제제인 서티칸, 유방암·신장암 치료제 아피니토르로 사용된다. 시롤리무스는 라파마이신으로도 불리며, 폐림프관근육종증 치료제로 쓰인다. 템시롤리무스는 토리셀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세포암 치료제로 사용된다.

5. 2. 칼시뉴린 억제제

칼시뉴린 억제제에는 타크로리무스와 시클로스포린이 있다. 타크로리무스는 면역억제제이며, 시클로스포린은 면역억제제이자 건선 치료제이다.

참조

[1] 논문 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 Roadmap to Targeted Therapies 2021-01-01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targeted therapy – NCI Dictionary of Cancer Terms http://www.cancer.go[...]
[3] 웹사이트 Targeted Cancer Therapies http://www.cancer.go[...] 2021-09-15
[4] 논문 Strategies for co-targeting the PI3K/AKT/mTOR pathway in NSCLC 2014-04-01
[5] 논문 Evolving landscape of tumor molecular profiling for personalized cancer therapy: a comprehensive review 2016-08-01
[6] 논문 Development and characterisation of a panel of phosphatidylinositide 3-kinase -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inhibitor resistant lung cancer cell lines 2018-01-01
[7] 논문 Strategic targeting of the PI3K-NFκB axis in cisplatin-resistant NSCLC 2014-10-01
[8] 논문 Activated neu oncogene sequences in primary tumors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duced in rats by transplacental exposure to ethylnitrosourea; Inhibition of tumor growth by a monoclonal antibody reactive with an oncogene-encoded tumor antigen; Down-modulation of an oncogene protein product and reversion of the transformed phenotype by monoclonal antibodies 1987-09-01, 1986-12-01, 1985-07-01
[9] 논문 Targeted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olid tumors: practice contradicts theory 2008-05-01
[10] 논문 The promise and perils of 'targeted therapy' of advanced ovarian cancer
[11] 논문 Recent advances of novel targeted 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2009-01-01
[12] 서적 Targeted Therapies in Cancer https://www.novapubl[...] Nova Sciences Publishers 2014
[13] 논문 Tamoxifen: catalyst for the change to targeted therapy 2008-01-01
[14] 논문 Small-molecule Bcl-2 antagonists as targeted therapy in oncology 2008-12-01
[15] 논문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novel selectiv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 inhibitor YN968D1 in patients with advanced malignancies 2010-10-01
[16] 웹사이트 Apatinib http://clinicaltrial[...]
[17] 웹사이트 Phase II study of AEZS-108 (AN-152), a targeted cytotoxic LHRH analog, in patients with LHRH receptor-positive platinum resistant ovarian cancer. http://www.asco.org/[...]
[18]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dianhydrogalactitol (VAL-083) in overcoming chemoresistance in glioblastoma https://www.ejcancer[...] 2016-12-01
[19] 논문 DNA damage response to dianhydrogalactitol (VAL-083) in p53-deficient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2017-07-01
[20] 웹사이트 VAL-083 Clinical Trials https://clinicaltria[...]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1] 웹사이트 Merck, Endocyte in Development Deal http://www.dddmag.co[...] 2012-04-25
[22] 웹사이트 Keytruda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02-02
[23] 웹사이트 Pembrolizumab Use in Cancer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09-18
[24] 간행물 Therascreen KRAS RGQ PCR Kit – P110030 //www.fda.gov/Medic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07-06
[25] 간행물 Erbitux®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www.ema.europa.eu/[...] European medicines Agency 2014-06-01
[26] 간행물 Cetuximab (Erbitux). About the Center of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11-16
[27] 간행물 Merck KGaA: European Commission Approves Erbitux for First-Line Use in Head and Neck Cancer //www.merck.de/de/pr[...] 2015-11-16
[28] 뉴스 F.D.A. Panel Supports Avastin to Treat Brain Tumor https://www.nytimes.[...] 2009-08-13
[29] 서적 免疫・アレルギー疾患の分子標的と治療薬事典 羊土社
[30] 보도자료 FLT3/AXL阻害剤ギルテリチニブFLT3遺伝子変異陽性急性骨髄性白血病の治療薬として日本での製造販売承認申請 https://www.astellas[...] アステラス製薬 2018-11-04
[31] 웹사이트 https://www.kegg.jp/[...]
[32] 웹사이트 PfizerPRO {{!}} 医療関係者のための情報サイト https://pfizerpro.jp[...] 2014-02-23
[33] 웹사이트 臨床試験情報詳細画面 {{!}} 一般財団法人日本医薬情報センター 臨床試験情報 https://www.clinical[...] 2018-11-23
[34] 웹사이트 リムパーザ錠100mg/リムパーザ錠150mg https://web.archive.[...] 2018-11-10
[35] 웹사이트 Lynparza Prices and Lynparza Coupons - GoodRx https://www.goodrx.c[...] GoodRx, Inc. 2016-09-10
[36] 보도자료 ファイザー社のIBRANCE®(一般名:Palbociclib)、FDAの迅速承認を取得 https://www.pfizer.c[...] ファイザー 2018-12-28
[37] 웹사이트 ベージニオ錠50mg/ ベージニオ錠100mg/ ベージニオ錠150mg http://www.info.pmda[...] 2018-10-04
[38] 웹사이트 抗体物語-3.抗体の応用-其の14「抗体医薬、発展の歴史」 http://www.kyowa-kir[...] 協和発酵キリン 2013-04-27
[39] 웹사이트 抗体医薬品 {{!}} 国立医薬品食品衛生研究所 生物薬品部 https://www.nihs.go.[...] 2013-04-27
[40] 웹사이트 児玉 龍彦 招待講演 要旨 - 第3回 バイオスーパー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ンポジウム http://www.hgc.jp/~m[...] 次世代計算科学研究開発プログラム事務局 2013-04-27
[41] 저널 A role of lipophilic peptidoglycan-related molecules in induction of Nodl-mediated immune responses
[42] 웹인용 Definition of targeted therapy - NCI Dictionary of Cancer Terms http://www.cancer.go[...]
[43] 웹사이트 NCI: Targeted Therapy tutorials http://www.cancer.go[...]
[44] 저널 Activated neu oncogene sequences in primary tumors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duced in rats by transplacental exposure to ethylnitrosourea 1987-09-00
[44] 저널 Inhibition of tumor growth by a monoclonal antibody reactive with an oncogene-encoded tumor antigen 1986-12-00
[44] 저널 Down-modulation of an oncogene protein product and reversion of the transformed phenotype by monoclonal antibodies 1985-07-00
[45] 저널 Recent advances of novel targeted 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http://www.jhoonline[...] 2009-01-00
[46] 서적 Targeted Therapies in Cancer https://www.novapubl[...] Nova Sciences Publishers 2015-03-29
[47] 웹사이트 http://www.dddmag.co[...]
[48] 뉴스 F.D.A. Panel Supports Avastin to Treat Brain Tumor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09-08-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